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plus2plus9/70137740097
나의 오래된 죽마고우이자 없어서는 안될 기계!!!! 바로 맥북프로이다.
정말 오래도록 사용했다....ㅋㅋㅋ 24시간 켜 놓고 가는날이 365일중에 300일은 될 것이요.
목욕도 안시켜주고, 내내 묵묵히 나의 옆을 지켜주고 있는 맥북프로!
여지껏 MS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아도 업무에는 별 지장이 없었는데 근래에 필요한일들이 생겨 하는 수없이 윈도우를 설치해야 하는 아픔?^^을 겪었다.
자, 온라인에는 "맥북에 윈도우 USB 설치방법" 에 무수히 많은 글들과 방법이 나와있다.
그러나! 그러나!!! 그러나!!!!!
[맥북"프로"는 USB 사용 부트캠프 설치시 99% 실패확률이 높다]
[반드시 DVD 설치로 피곤함을 줄이자.!!!!!!]
우선 인텔 맥 OSX에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.
첫번째 방법 : 부트캠프를 이용한 설치 (부트캠프 사용)
장점 - 안정적이다. 가상머신에서보다 빠르고 쾌적하다. 진짜 윈도우 사용하는 것이다.
단점 - 부팅시 선택을 해서 한가지 OS만 사용할 수 있다. 설치가 다소 까다롭다.
두번째 방법 : 일명 가상머신으로 설치 (VirtualBox 혹은 패러럴 프로그램 사용)
장점 - 설치가 비교적 쉽다. 맥OS와 윈도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.
단점 - 버벅거리기 쉽다. 부트캠프 설치 시 보다 불안정하다.
세번째 방법 : 맥OSX는 지우고 윈도우만 설치,
장점 - 윈도우만 쓸수 있다는 것? ㅎㅎㅎㅎ
단점 - 윈도우만 쓸 수 있다는 것? ㅋㅋㅋㅋ
난 맥OSX가 싫다. 단지 애플 디자인이 좋다. 그래서 윈도우만 쓰겠다 하시는 분들은 [[[[[[[[ 요기 ]]]]]]]] 참조
[사전 준비해야 할 것(상황) - 꼭 읽어 보시도록 .......]
1. 중요한 자료는 백업 (가급적 CD나 DVD, 혹은 WIN32 포맷의 외장하드에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맥을 사용하고 있다면 아마도 파티션(HDD)를 2~3개로 분할하여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.
하지만 부트캠프를 이용한 윈도우7 설치 시 하드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어 놔야 한다. (★), 밑에 설명하겠다.
때문에 모든 자료는 백업해둬야 하며, 백업 시 NTFS파일 형태는 맥에서 읽지 못하므로 WIN/WIN32로 포맷한 저장매체에 백업을 해두는 것이 만약을 위해서도 좋다. 가장 좋은 방법은 CD/DVD에 저장해 놓는 것이 좋겠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. USB (WIN 혹은 WIN32로 포맷한 것, 요 방법은 잘 아시리라 믿는다. 맥에서도 할 수 있도 윈도우에서도 가능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윈도우7을 설치하면 관련 드라이버를 잡아야하는데 고맙게도 부트캠프 초기에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맥북프로 드라이버를 제공해준다. 이 드라이버를 저장할 UBS이다. 물론 UBS말고 외장하드도 괜찮다. 하지마 공간이 넉넉한 4GB 이상을 준비하도록 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3. 부팅가능한 윈도우 7 DVD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정품 윈도우 7을 가지고 있는것이 가장 좋다. 두말하면 잔소리다.
하지만 독점권을 행사하고 있는 MS의 주머니를 불려줄 생각이 없는 사람들은 분명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ISO파일을 구할 것이다. 맞죠? ^^ 그것도 괜찮다. 단, 부팅가능한 DVD로 구워놓아야 한다.
(★★★★★) 여기서 중요한 것은
맥북프로의 DVD ROM이 상당히 특성을 탄다는 것이다.
무슨 말인고 하니 공 DVD 브랜드에 따라 읽히는 것도 있고 못읽는 것도 허다하다는 것이다. 소위 삽질가능성 굉장히 많을 부분이다. 분명 잘 구웠는데 맥북프로의 광학 드라이브에서 Eject되는 현상 자주 일어난다.
(물론 광학드라이브 열받아도 역시 토해낸다.)
때문에 일반 중국산 저가의 공 DVD / 필립스 공 DVD / SKC 공 DVD는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.
내가 자주 사용하는 것은
Imation(이메이션), TAIYO YUDEN(다이요유덴)이다. 거의 실패가 없다. 명심하자...이상한 허접 공 DVD는 맥북프로가 계속 토해낼 것이다. ...ㅎㅎㅎ 생각해보면 지가 무슨 대단한 놈이라고...저가는 무시하고 말야.
부팅가능한 DVD만들기는 음...................네이버에 찾아보면 금방 나옴...^^ 죄송..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4. rEFIT 준비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아마도 맥 OSX가 윈도우 부트로더를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것이거 같다. ^^ 참 고맙기도 하셔라..
아무튼 머리 아프니 첨부파일에서 일단 맥에 다운로드 해놓자. 첨부파일 학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자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...
아래 사진은 부트캠프 윈도우 7로 부팅한 화면이다. (나는 맥에 익숙해 작업표시줄를 위로..... 아 웃겨...ㅋㅋㅋ)
자.. 아래와 같이 부트캠프를 이용해 윈도우 7을 무리없이?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....
1. 먼저 맥의 파티션을 하나로 통합해놔야 한다.
만약 부트캠프 실행도중에 아래 사진과 같이 "시동 디스크는 파티션될 수 없거나 단일 파티션으로 복원될 수 없습니다."라는 메세지는 아마도 파티션 문제일 것이다.
피티션 상황을 보도록 하자...
맥 OSX에서 "디스크 유틸리티"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.
아래 사진은 현재 윈도우 7이 설치된 나의 맥에 파티션 모습이다.
먼저 파티션을 1개로 만들어야 한다.
만약 파티션 통합 방법을 잘 모르겠다면 깔끔하게 맥 OSX도 다시 설치하자. 그게 머리 안 아프다....
맥 설치는 매우 쉽다. 그리고 설치 초기에 "디스크 유틸리티" 실행시키고 파티션 하나로 만들어주면 간단하게 해결될 일이다. (맥 OSX설치 시간 많이 잡아봐야 30~40분이다.)
![](http://postfiles12.naver.net/20120509_11/plus2plus9_1336540102417W9cvS_PNG/667676.png?type=w3)
2. rEFIT 설치
자, 파티션 문제(파티션 하나로 통합)가 해결되었으면 처음에 다운로드해서 준비한 "rEFIT"를 맥에 설치한다.
rEFIT를 설치하고 난 뒤 두 번 정도 부팅하면 아래와 같은 부팅 시 옵션이 나타난다.
아주 디자인 구리다.....ㅎㅎㅎ 뭐 나중에 복구할거니깐 상관하지말고....
rEFIT를 설치하고 두번째 혹은 세번째 부팅 시 다음과 같은 옵션이 나타나면
우선 맨앞의 사과 그림(맥으로 부팅)을 클릭해 맥으로 부팅한다.
![](http://postfiles9.naver.net/20120509_184/plus2plus9_1336544495862RlT9p_JPEG/44444.jpg?type=w3)
자, 이제 맥 OSX에 파티션이 하나 이며, rEFIT도 설치 된 상태일 것이다. (이 상태가 되어야 한다.)
3. 아래 사진처럼 Boot Camp 지원을 실행시킨다.
(나는 OSX Lion을 사용 중이여서 저렇게 뜬다..ㅋㅋㅋ)
![](http://postfiles9.naver.net/20120509_248/plus2plus9_1336540102590iPet3_PNG/fddfdf.png?type=w3)
4.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과정
부트캠프 실행 시키면 '이 Mac을 위한 Windows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'에 체크하여야 한다.
이 부분이 바로 윈도우 7에 설치된 맥북프로 드라이버들이다.
USB꼽고 다음을 누르면 USB(혹은 외장하드)에 관련 드라이버를 설치할 것이다. USB 잘 보관토록!!!!
![](http://postfiles12.naver.net/20120509_219/plus2plus9_1336540102799FMK5x_PNG/678.png?type=w3)
5. 윈도우 파티션 설정 과정
처음에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어 놓았다면 이제 맥북프로가 윈도우 7을 위한 파티션을 만들어 줄 것이다.
파티션 생성 또는 제거를 누르면 용량을 정해서 만들 수 있는 화면이 나올 것이다.
적절히 분배하여 맥 OSX와 윈도우 파티션을 나누어 주면 된다. (생각보다 아주 쉽다.)
![](http://postfiles7.naver.net/20120509_6/plus2plus9_1336540103091475VB_PNG/978.png?type=w3)
6. Window DVD 넣으라는 메세지가 나올 것이다.
그럼준비한 부팅가능한 윈도우 7 DVD를 넣고 확인을 누르면 재시동 후 설치가 될 것이다.
7. 윈도우 7 dvd를 넣고 샐행시키면 재부팅이 될 것이다.
그럼 rEFIT 부팅 화면이 아래처럼 올것인데 이번엔 윈도우 아이콘 밑에 cd표시가 달린 아이콘을 클릭하면 윈도우 7설치화면으로 넘어갈 것이다.
![](http://postfiles7.naver.net/20120509_230/plus2plus9_1336545235467QYIKF_JPEG/rtrtrtrtr.jpg?type=w3)
8. 윈도우 7일반적인 설치
재 부팅후 해당 아이콘을 실행하면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윈도우 설치 화면이 뜨면서 설치가 시작될 것이다.
![](http://postfiles8.naver.net/20120509_247/plus2plus9_1336545096201qTiaN_JPEG/1022062540_w660-h535.jpg?type=w3)
9. 설치 후 윈도우 부팅 그리고 드라이버 설치
윈도우 7이 설치되었으면 부팅 후 또 rEFIT 화면이 계속 뜰 것이다.
윈도우 아이콘을 클릭하여 들어가자
윈도우로 부팅했으면 초기에 USB에 다운로드 했던 드라이버들을 설치할 차례이다.
![](http://postfiles10.naver.net/20120509_185/plus2plus9_1336545203908j99IS_JPEG/fgfgfgfgfgfgf.jpg?type=w3)
USB안에 WindowsSupport 폴더에 들어가면 실행파일이 하나있을 것이다.
과감하게 클릭!!!!! 이제 윈도우 7 드라이버들이 설치되면 완벽한 윈도우 7이 될 것이다.
![](http://postfiles11.naver.net/20120509_266/plus2plus9_1336540102948xRQ8O_PNG/4334.png?type=w3)
자,,,, 모든 과정이 끝났으면 rEFIT 부팅 화면을 없애 버리려고 할 것이다. 나만 그런가????!!!!! @.@
일단 맥으로 부팅해서 "터미널"을 열고
![](http://postfiles10.naver.net/20120509_89/plus2plus9_13365455944306lgCW_PNG/BDBAC5A9B8B0BCA6_2010-06-13_BFC0C8C4_6_04_07_ahn283.png?type=w3)
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엔터 ^^
sudo rm -rf /efi
sudo rm -f /Library/StartupItems/rEFItBlesser
sudo rm -rf /Applications/Utilities/Partition\ Inspector.app
그러면 rEFIT의 부팅화면은 사라지고 전통적인 맥북 부팅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. 난 개인적으로 이렇게 순수한게 좋더라...조금 불편하더라도,,,,, 뭐 이건 개인 취향이니 ~
부팅 시 아래처럼 option 키를 꾹~~ 눌러준다.
![](http://postfiles10.naver.net/20120509_281/plus2plus9_1336540103705hSec2_JPEG/IMG-20120509-00012.jpg?type=w3)
그러면 아래처럼 OS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. 윈우를 선택하면 ?
![](http://postfiles8.naver.net/20120509_7/plus2plus9_13365401035184HSGv_JPEG/IMG-20120509-00011.jpg?type=w3)
이렇게 부팅된다.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이렇게 윈도우를 맥에 설치 할 줄이야.....나 원....
![](http://postfiles14.naver.net/20120509_157/plus2plus9_1336540102219yKN5N_JPEG/IMG-20120509-00010.jpg?type=w3)
많이 복잡한 것 같은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다.
1. 백업
2. 맥에 단일 파티션 준비 (혹은 맥OSX 재설치)
3. rEFIT 설치
4. 부트캠프 실행
5. USB에 드라이버 저장
6. 윈도우 7 DVD 설치
7. 윈도우 드라이버 설치(USB)
8. rEFIT 삭제
맥북 프로에 윈도우 7을 설치시 반드시 기억하자.....
다른 유저들이 너무나도 잘 써놓았기 때문에 다른 글을 참조하되
첫번째 , 단일 파티션
두번째, USB 설치안됨, 부팅가능한 윈도우 7 DVD 준비
세번째, 공 DVD 선택 시 반드시 유의
이 세가지만은 반드시 기억해두어야 한다. 그래야 이상한 에러 메세지 안뜰 가능성이 높다.^^
휴~~~~~~~~~~
근래에 쪽지로 많은 물음이 오는 부분이라 추가했다.
난 맥OSX가 싫다. 단지 애플 디자인이 좋다. 그래서 윈도우만 쓰겠다 하시는 분들은 [[[[[[[[ 요기 ]]]]]]]] 참조
'Server&OS > AppStore&Mac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형맥에서 ISO파일로 윈도우 설치하기 (0) | 2013.05.16 |
---|---|
앱스토어 주소(URL)을 미리 알아내는 법 (0) | 2013.01.02 |
맥북프로 윈도우7 usb 설치 (0) | 2012.10.06 |
Lion DiskMaker로 클릭 한 방에 OS X 마운틴 라이언 설치 USB 만들기 (0) | 2012.09.01 |
Apple’s iOS Custom Icons and Image Guidelines; an Infographic ( Including iPad 3 ) (0) | 2012.08.07 |